2016년 개봉한 나홍진 감독의 영화 『곡성(哭聲)』은 단순한 공포영화를 넘어선 복합적 장르의 미스터리 스릴러다. ‘시골 마을에서 벌어진 연쇄 살인’, ‘외지인의 등장’, ‘무속신앙과 종교의 충돌’이라는 코드 속에서 관객은 악의 실체를 추적하고, 혼란과 의심 속에 빠지게 된다. 이 영화는 한국 사회가 가진 집단 심리와 타자에 대한 공포, 그리고 ‘악이란 무엇인가’라는 원초적 질문을 시각적으로 풀어낸다. 본 리뷰에서는 줄거리 요약을 시작으로 곡성의 관전 포인트와 감독이 전달한 깊은 메시지를 다뤄본다.
의심과 공포, 그 끝없는 미로
영화는 전라남도 깊은 산골 마을 ‘곡성’에서 벌어진 이유 모를 살인 사건으로 시작된다. 범인들은 대부분 환각 상태에서 가족을 죽이거나 스스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등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보인다.
마을 순경 종구(곽도원)는 사건의 실체를 추적하던 중, 사람들이 일본인 외지인(쿠니무라 준)을 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그 외지인은 산속에서 수상한 삶을 살며, 마을을 떠도는 괴담의 중심에 있다.
종구는 그를 의심하며 접근하지만 명확한 증거는 없다. 그러던 중 딸 효진(김환희)이 점점 이상한 증상을 보이기 시작하고, 무속인 일광(황정민)의 등장으로 이야기는 더 미궁 속으로 빠진다. 일광은 외지인을 ‘악마’로 지목하고 구마의식을 행하지만, 그 의식은 실패하며 종구의 가족은 더욱 위태로워진다.
영화는 후반으로 갈수록 무속신앙, 기독교, 주술, 의심, 공포가 뒤엉키며 관객조차 진실이 무엇인지 혼란스럽게 만든다.
결국 종구는 선택의 기로에 놓이지만, 영화는 그 어떤 것도 명확히 설명하지 않고 악의 기원을 열린 결말로 남긴 채 마무리된다.
관전 포인트 ① 외지인과 타자에 대한 집단 심리
곡성에서 벌어지는 모든 불행의 시발점은 ‘일본인 외지인’의 등장 이후부터 시작된다. 감독은 이를 통해 타자(異者)에 대한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불신과 공포심을 드러낸다.
외지인의 언어, 종교, 외모, 행동은 마을 주민들과 극명히 대비되며, 악의 원천처럼 그려진다. 그러나 영화는 그를 절대적으로 악으로 단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일광, 여자무당, 신부, 주민 등 각자 다른 시선과 해석이 존재하고, 관객은 그 가운데서 누구를 믿어야 할지 혼란에 빠진다.
이는 공포의 본질이 실체보다 ‘모호함’에서 비롯됨을 상징한다.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은 ‘악 그 자체’보다, 누가 악인지조차 알 수 없는 세계의 불확실성이다.
관전 포인트 ② 종교와 민속, 과학의 충돌
곡성은 한 마을을 배경으로 하지만, 이곳에 등장하는 신념 체계는 너무나 다채롭다. 무속신앙, 기독교, 귀신, 악령, 병리학적 설명까지 각각의 인물이 믿는 체계가 다르고, 그 체계들은 모두 충돌한다.
종구는 처음엔 모든 걸 우연이나 병으로 받아들이지만, 점차 상황이 심각해지자 무속과 종교에 의지하게 된다. 딸을 살리기 위해 일광을 불러들이고, 외지인을 배척하며, 결국엔 스스로도 믿음과 의심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설정은 현대 한국 사회가 여전히 과학과 이성 중심임에도 불구하고, 위기 상황 앞에서는 비이성적 신념 체계로 회귀하는 심리를 정확히 포착한 것이다.
“악은 언제나 가장 친절한 얼굴로 다가온다”
나홍진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악은 눈앞에 있어도 알지 못한다”, “악의 실체는 우리가 믿고 싶은 것을 믿는 그 순간 결정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종구는 딸을 살리기 위해 사람들의 말에 휘둘리고, 어느 누구도 완전히 신뢰하지 못한 채 결정의 순간마다 선택을 잘못한다.
그 과정에서 영화는 ‘믿음’과 ‘의심’이라는 인간 내면의 양면성을 철저히 드러낸다.
또한, 영화 속 외지인은 친절하고 조용하며 직접적으로 위협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의 사진, 행동, 배경은 끊임없이 악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이 모호함 속에서 감독은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당신이라면 누구를 믿을 것인가?”,
그리고 “믿음의 대가는 무엇인가?”
공포를 넘어선 철학적 질문
『곡성』은 단순한 호러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믿음, 집단의 불안, 타자에 대한 시선, 그리고 악의 정체에 대한 철학적 공포를 그린 작품이다.
모든 사건은 설명되지 않고, 모든 인물은 의심스럽다.
하지만 그 속에서 드러나는 것은 한국 사회의 심층 심리와 인간 내면의 본성이다.
공포는 대상이 아니라, 선택과 해석의 결과라는 사실을 곡성은 날카롭게 보여준다.